목차
고블린(Goblin)은 독일과 영국의 민속 전설에서 유래한 신화적 생물이다. 인간에게 우호적인 요정과 종종 대비된다. 고블린은 악의적이거나 장난기 많은 생명체로 묘사된다. 고블린은 다양한 버전으로 전승된다. 특히 이들은 어두운 장소에서 살며 문제를 일으키는 작은 괴생물로 묘사된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선, 동굴에서 살면서 아이들을 괴롭히는 녹색 괴생물로 더 자주 묘사돼 왔다. 특히 이들은 여러 지역의 전승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묘사된다. 단순히 장난기 많은 어린아이처럼 행동한다든지, 아니면 인간에게 위험할 정도록 악한 행동을 한다든지 식이다. 신화적 요소에서 이들은 영적인 존재다. 유령이나, 기독교 교리에 반하는 데몬(Demon)과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고블린(goblin)에 대한 어원은 다양한 설이 있다. 고대 그리스어의 코발로스(κοβαλοs, kobalos)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코발로스는 도둑이나 믿지 못할 사람을 뜻한다. 이후 산의 정령을 뜻하는 라틴어 코발루스(cobalus)로 변형되었고, 프랑스어와 영어를 거쳐 현재의 '고블린'이라는 이름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또 어떤 전승에 따르면, 정원 요정인 노움(Gnome)의 왕인 '곱(Gob)' 또는 '고브(Ghob)'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노움은 북유럽 전승에 나오는 난쟁이 종족이다. 곱 왕의 부하들이 고블링(Ghob-lings)으로 불렸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블링은 앵글로-프랑스어 고블린(gobelin, 중세 라틴어 gobelinus)에서 유래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블린(gobelin)을 약칭하면 고벨(Gobel)이다. 또는 코볼트(kobold)나 루탱(lutin, 프랑스어)으로도 불린다. 고블린 무리 떼는 호드(Horde)로 불리며, 여성 고블린은 때론 '해그(hags)' 또는 크론(crones)'로 칭한다
세계 각지의 전통문화에서도 고블린과 유사한 괴생명체가 등장한다. 짐바브웨에서는 지빅왐보(zvikwambo)라는 고블린과 유사한 생명체가 있다.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종종 '지빅왐보'가 여성을 임신시킨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일본의 산 도깨비, 텐구(天狗, てんぐ)는 긴 코를 가진 노인의 모습을 한다. 맨발로 걷거나, 새의 날개나 부리 발톱을 가지고 있다. 또 종종 인간의 몸을 가진 까마귀 형태로도 등장한다. 초기 신화에서 텐구는 불을 지르거나 아이들을 납치하고 먹는 등 악행을 저지른다. 그들은 또한 사람들을 속이는 인간으로 변신할 수 있다. 후대에 텐구는 무술의 대가로도 묘사되는데, 이 텐구는 특정 유파 무술을 창시하는데 스승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도깨비가 고블린에 해당한다. 또 독일의 코볼트(Kobold)나 스칸디나비아의 트롤(Troll)이 있다. 이들도 소형의 괴물로서, 고블린과 비슷한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지역적 특색에 따라 다른 성격을 가진다.
고블린은 중세 유럽의 다양한 문헌과 민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의 민속 전승에서 자주 등장하며, 대개는 사람들을 현혹하거나 괴롭히는 역할로 그려진다. 이러한 전통적인 묘사는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 키는 난쟁이 키에서 인간 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외모로 그려진다. 특징은 그로테스크한 요정이다. 또 종류와 생김새 역시 다양하다. 때로는 상충하는 능력과 특성이 주어진다. 일부 전승에서 고블린은 인간 눈에 보이지 않아 유령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이 같은 보이지 않는 고블린이지만, 전승에서는 이들의 모습을 묘사한다.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작고 체형 역시 뚱뚱하거나 마를 수 있다. 눈썹은 두꺼운 머리카락으로 완전히 덮여 있고 그들의 입은 노랗고 구부러진 이로 가득 차 있다. 목소리는 거칠고 쉬어있다. 약간 높은 피치의 목소리를 가지며, 인간의 언어뿐 아니라 자신들만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대체로 전승에서는 교활한 지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색상은 최근에 들어 녹색으로 표현되지만, 이는 현대에 들어서 나타난 현상이다.
고블린은 장난기 많다. 밤에 말을 훔쳐 타고 작은 물건을 숨긴다. 또 우유통을 쓰러뜨리고, 표지판을 바꾸는 것과 같은 짓을 한다. 일부에선 초인적 능력을 발휘한다. 악몽을 거미줄로 짜서 잠자는 사람의 귀에 넣거나, 여성과 아이들을 납치해 지하에 숨기거나, 심지어 아기를 훔쳐 못생긴 고블린 아기로 바꾸기도 한다. 일부 전승에서는 고블린이 미소를 지으면 피가 응고되고, 웃으면 우유가 상하고 과일이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설이 있다. 한 가지 특징인 고블린은 정주인이 아니라는 점이다. 유목민처럼 행동하며 한 곳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 것으로 믿어진다.
자비로운 고블린(The Benevolent Goblin)은 13~14세기 영국 게스타 로마노룸에서 발간한 작자미상 민화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한 숲이 우거진 언덕에 유난히 친절한 고블린이 살고 있었어요. 이 고블린은 붉은 옷을 입었는데, 금과 보석이 박힌 신비한 뿔 잔에 술을 담아 지역 기사들에게 먹였습니다. 기사들이 힘들고 지칠 때 신비한 뿔에 담긴 정체불명의 술을 마시면, 기적처럼 더위가 사라지고 상쾌해졌다고 합니다.
고블린은 기사들을 계속 도와주었는데, 어느 날 욕심 많고 속임수에 능한 기사가 고블린에게 "술을 마셔도 되냐"라고 물어본 뒤 술잔을 들고 도망쳤습니다.
이 기사는 자신이 고블린의 뿔 잔을 훔쳤다고 자랑하다 발각돼, 곧 당국에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습니다. 그 후 고블린의 술잔은 영국 왕에게 선물로 주어졌습니다. 하지만 이후 고블린은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데어 에르쾨니히(Der Erlkonig)는 엘프 왕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시는 독일의 작가이자 시인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1782년 게르만 경극의 일종인 '싱스필(Singspiel)'의 일부로 쓴 시다. 엘프 왕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괴테는 엘프 샷이라는 불리는 고대 덴마크 문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고전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1570년 것으로 추정이 되며, 전승은 더 오래됐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어린 소년이 아버지와 함께 밤에 말을 타고 달리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목적지로 가는 도중 소년에게 고블린이 나타납니다. 두려움에 휩싸인 소년은 아버지에게 고블린이 따라오고 있다고 소리칩니다. 아버지는 주위를 둘러보지만, 추격자가 보이지 않자 아들의 상상일 거라고 결론 내립니다.
하지만 아들은 여전히 고블린을 볼 수 있었고,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고블린이 아들의 귀에 속삭일 수 있을 만큼 가까이 다가가도, 고블린을 볼 수 없었습니다. 소년은 갑자기 비명을 지릅니다. 아버지는 그것도 모른 채 말을 몰다, 아들이 죽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습니다.
고블린 조랑말(The Goblin Pony)은 1900년 스코틀랜드의 시인 앤드류 랭이 단편 소설집에 필사해 출판한 프랑스 전통 동화다.
단편은 할머니가 세 손자를 향해, 그날 밤은 핼러윈이고 바람이 심하게 불기 때문에 "외출하지 말라"라고 경고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할머니는 이렇게 말합니다.
"마녀와 마녀의 하수인인 고블린이 돌아다니니, 밖으로 나가지 말거라"
고블린은 사람들을 해치기 위해 변장을 하고 산길을 돌아다닙니다.
세 소년은 할머니 말씀을 무시하고, 블랙베리를 따러 나갑니다. 하지만 이때 작은 마법에 걸린 작은 조랑말을 만납니다. 세 소년은 한꺼번에 조랑말을 타기로 결정하고 올라탑니다. 조랑말은 이들을 태우고 신나게 달립니다.
얼마쯤 지났을까, 또 다른 어린이를 만납니다. 이들은 그 어린이들에게 조랑말에 올라타기를 권유합니다.
조랑말은 어린이가 몇 명이든지 모두를 태웠습니다.
하지만 조랑말이 바다를 향해 달리기 시작하면서 즐거움은 공포로 바뀌었습니다. 아이들은 조랑말을 멈추거나 궤도를 바꿀 수 없었습니다. 조랑말은 바다로 뛰어들었고, 아이들이 익사하는 것을 옆에서 즐겁게 보고 있었습니다.
이른 아침, 할머니는 아이들이 없어진 것을 알고 손주들을 찾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러던 중 할머니는 조랑말을 마주쳤지만, 할머니는 고블린인 것을 인지하지 조차 못했습니다.
공주와 고블린(The Princess and the Goblin)은 스코틀랜드 작가 조지 맥도널드가 1871년에 발표한 동화다. 이 이야기의 문학적 중요성은 줄거리 때문이 아니다. 이 동화는 고블린에 대한 근대적 묘사를 했다는 점에서, 훗날 수많은 판타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그 유명한 반지의 제왕 작가인 J.R.R. 톨킨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 동화에 등장하는 고블린은 작고 기형적인 지하 종족으로 묘사된다. 이들은 잔인하고 장난스러운 성격을 지녔다. "고블린은 그런 설명이 암시하듯 인간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있다. 몸은 기형적으로 변했지만, 지식과 영리함이 커지면서 인간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교활함이 커짐에 따라 장난도 늘어났고, 위층에 사는 사람들을 괴롭히기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며 즐거워했다."
톨킨은 공개적으로 공주와 도깨비가 1937년작 <호빗>의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톨킨은 이런 말을 했다. "고블린 전통에 많은 빚을 졌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조지 맥도널드에 등장하는 고블린과 그 방식에서 어느 정도 유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동화는 여덟 살의 어린 아이린 공주를 중심으로 시작한다. 아이린 공주는 밤하늘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매우 보호받는 삶을 살았다. 안전을 위해 성에서만 지내고 밤에는 절대 밖으로 보내지 않은 것이다. 밤하늘이 어떻게 생겼는지 아는 것이라고는 아기방 천장에 걸린 그림이 전부였다. 공주는 밤하늘을 보고 싶었지만, 밤이 되면 고블린이 왕국을 누비기 때문에, 공주를 보호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나이가 들면서 더욱 모험심이 강해진 어린 공주는 성과 연결된 터널을 탐험하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아이린은 놀랍게도 자신과 이름이 같은 증조할머니가 살고 있는 탑을 발견한다.
아이린은 모험에 대한 갈망이 이전 발견으로 만족되지 않았고, 끈질긴 노력 끝에 어느 날 밤 유모 루티를 설득해 밖으로 데리고 나가는 데 성공한다. 아이린의 설렘은 곧 루티와 함께 고블린에게 쫓기면서 공포로 바뀐다. 다행히도 그들은 커디라는 어린 광부 소년에게 구출되었습니다.
커디는 광산에서 일하면서 지하 고블린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광산에서 일하던 중 커디는 한 쌍의 고블린이 서로 대화하는 것을 우연히 들었다. 고블린은 자신들의 특별한 약점인 예민한 발에 대해 서로 불평하고 있었다. 커디는 고블린들의 대화를 엿듣는 과정에서, 고블린이 실패하면 광산 전체를 물에 잠기게 하려는 신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이 말을 들은 커디는 고블린의 지하 영토를 탐험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고블린의 약점인 발을 하나씩 밟아 고블린을 완전히 물리치려고 했다. 고블린 여왕의 발을 밟기 전까지 거의 성공할 뻔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고블린 여왕은 돌로 만든 신발을 신고 있었다.
부상을 입은 커디는 고블린에게 감금된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는 곧 아이린 공주에게 구출된다. 공주는 증조할머니가 준 마법의 실을 이용해 커디를 찾을 수 있었다. 궁전으로 탈출하기 전에 커디는 잠든 고블린 여왕의 돌신을 훔치는 데도 성공한다.
커디는 고블린들과 시련을 겪는 동안 고블린들이 공주 아이린을 납치해 고블린의 왕자 하렐립과 강제로 결혼시키기 위해 궁전으로 땅굴을 뚫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커디는 고블린의 계획을 궁전 경비병에게 경고하려다 오히려 감옥에 갇히게 된다. 고블린이 지하 터널을 통해 궁전으로 침입한 순간,
이제 돌신을 손에 넣은 커디는 고블린의 발을 밟아 쓰러뜨릴 수 있게 됐다. 고블린들은 퇴각하지만, 그 소동 속에서 아이린이 납치된다. 커디는 아이린의 마법의 실을 발견하고 그 실을 따라 집 안에 살아 숨어있는 아이린 공주를 찾아낸다. 고블린들이 광산을 범람시키려 하자 계획은 실패하고 모든 고블린이 익사한다.
이 동화에 등장하는 고블린은 작고 기형적인 지하 종족으로 묘사된다. 이들은 잔인하고 장난스러운 성격을 지녔다.
"고블린은 그런 설명이 암시하듯 인간과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있다. 몸은 기형적으로 변했지만, 지식과 영리함이 커지면서 인간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교활함이 커짐에 따라 장난도 늘어났고, 위층에 사는 사람들을 괴롭히기 위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며 즐거워했다."
톨킨은 공개적으로 공주와 도깨비가 1937년작 <호빗>의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톨킨은 이런 말을 했다. "고블린 전통에 많은 빚을 졌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조지 맥도널드에 등장하는 고블린과 그 방식에서 어느 정도 유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톨킨의 고전 <호빗>은 서양 판타지에서 고블린에 대한 생각과 묘사 방식을 바꾸어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명작이다. 톨킨의 작품에서 고블린은 작은 요정 생물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악한 괴물 같은 인간형 종족으로 묘사된다. 톨킨은 <공주와 고블린>에서 영향을 받아 고블린을 몸집이 크고(적어도 호빗에 비하면 큰) 추하게 생긴 종족으로 묘사했다.
"바위와 블록을 말하기도 전에 고블린, 큰 고블린, 아주 못생긴 고블린, 많은 고블린이 뛰어나왔습니다." 톨킨은 고블린을 묘사할 때 개구리나 두꺼비 같은 이미지를 떠올린다. 고블린의 목소리는 "돌덩이"로, 노래는 "삐걱거리는 소리"로, 발은 개구리의 물갈퀴처럼 "납작한" 것으로 묘사했다.
"고블린들은 매우 거칠었고, 무자비하게 꼬집으며 끔찍한 돌 같은 목소리로 낄낄대며 웃었습니다." "고블린들은 노래하거나 울부짖기 시작했고, 돌 위에서 발을 펄럭이며 시간을 지키고 포로들을 흔들기도 했습니다." "톨킨의 고블린은 특히 지하에 사는 종족입니다. 고블린은 땅을 뚫는 데 능숙하고 어둠 속에서도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속에서 살아온 고블린만이 꿰뚫어 볼 수 있는 깊고, 깊고, 어두운 곳이었어요."
고블린은 본질적으로 사악한 종족으로 묘사되며, 고문 도구와 전쟁 및 대량 살상 무기를 만드는 데 능숙하다. 그들은 또한 부주의한 여행자를 노예로 삼는 것에 대해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 고블린은 보통 지저분하고 지저분하지만, 수고로움을 감수하면 가장 숙련된 드워프 못지않게 땅굴을 파고 채굴을 할 수 있다. 망치, 도끼, 칼, 단검, 곡괭이, 집게, 고문 도구 등을 아주 잘 만들며, 공기와 빛이 부족해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하는 포로와 노예를 자신들이 디자인한 대로 만들거나 다른 사람들이 만들게 한다. 그들이 세상을 괴롭히는 기계들, 특히 많은 사람들을 한꺼번에 죽이는 기발한 장치 역시 고블린이 만든다.
톨킨은 호빗 속편 3부작인 반지의 제왕에서 "고블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오크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톨킨은 『호빗』(1951) 두 번째 판 서문에서 이렇게 썼다. "오크는 영어 단어가 아닙니다. 호빗에서 한두 군데 나오지만 보통 고블린(또는 큰 종류는 홉고블린)으로 번역됩니다." 톨킨의 작품에서 고블린과 오크는 동의어이지만, 톨킨 이후 판타지 장르에서 고블린과 오크는 대부분 별도의 종족으로 묘사된다. 고블린은 종종 더 작고 까다롭고, 오크는 더 크고 더 잔인하고 무시무시한 종족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고블린은 현대 판타지 영화와 게임의 중요한 캐릭터로 자리매김한다. 게임 속 주요 고블린 특징은 이러하다.
영화에서도 고블린은 주요 캐릭터로 자리매김했다.
고블린 Goblin A to Z (1): 고블린 유래에서 톨킨의 호빗까지
목차 고블린: 영국 독일의 전승 고블린(Goblin)은 독일과 영국의 민속 전설에서 유래한 신화적 생물이다. 인간에게 우호적인 요정과 종종 대비된다. 고블린은 악의적이거나 장난기 많은 생명체로
creaturechronicles.tistory.com
고블린 Goblin A to Z (2) 허미티지성의 레드캡
목차 스코틀랜드 고블린 레드캡 레드캡·파우리·던터 고블린은 영국 내에서도 매우 다양한 전승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것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전설에 나오는 붉은 모자인 레드캡(Red Cap)
creaturechronicles.tistory.com
고블린 Goblin A to Z (2): 허미티지성의 레드캡 (1) | 2023.12.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