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IWF 러셀 1000 기술적 분석 보고서 (2025년 4월 20일 기준)

차트 추세 분석

by 크리크로 2025. 4. 21. 00:44

본문

IWF

1. 📉 시세 및 수급 흐름

종가₩485,066이다.
시가/고가/저가는 각각 ₩489,212 / ₩489,865 / ₩482,567이다.
거래량은 약 2.51M주로, 전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수급 판단: 당일은 상·하단 모두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중립적 캔들(작은 음봉)**을 형성하였다.
  이와 함께 거래량이 감소했기 때문에, 단기 상승세에 대한 확신이 약해졌음을 시사한다.
  이는 단기 매수세가 일부 유입된 이후, 적극적 매도세 없이 관망세가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신고가·신저가 여부: 최근 4월 7일 438,280원에서 기술적 저점을 형성한 이후 일시적인 10% 내외 반등이 있었으며,
  피보나치 되돌림 기준 38.2% 지점에 도달한 이후 저항을 받고 있는 국면이다.

→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승 흐름이 정체되었으며, 추가적인 수급 유입 없이는 하락 재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 📈 캔들 및 이동평균선 분석

이평선 종류수치(₩)현재가 대비 이격도(%)기술적 해석
5일선 487,112 -0.42% 단기 추세는 반등 이후 정체. 이격도 축소 구간으로, 방향성 모색 중이다.
20일선 502,672 -3.50% 피보나치 38.2%와 일치하는 구간으로, 중기 저항선 역할을 수행 중이다.
60일선 542,118 -10.50% 중장기 하락세 지속 중이며, 반등 구간은 하락 중의 되돌림으로 해석된다.
120일선 555,156 -14.44% 추세 전환을 위해서는 돌파가 필수적인 구간. 장기 저항선 역할이 견고하다.

캔들 패턴: 최근 3거래일 연속으로 작은 음봉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는 급등 이후 피로감을 반영하는 패턴으로, ‘상승 후 정체’ 구간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상단 꼬리를 동반한 캔들은 저항에 대한 시장 인식을 시사한다.

이동평균선 배열: 60일선, 120일선이 상단에 위치한 전형적인 역배열 상태이며,
  단기 이평선들이 수렴하는 모습이 보이나, 아직 골든크로스 전환에는 부족하다.

→ 20일선 저항선 인식이 강하며, 5일선·20일선의 수렴 여부에 따라 추세 전환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 현재는 반등 후 정체 국면으로, 추세 강세 판단은 이르다.


3. 📊 보조지표 분석

RSI(14): 현재 수치는 41.68로, 전형적인 중립~약과매도 영역에 속한다.
  과매도에서 기술적 반등이 있었으나, 아직 50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에너지 회복이 완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RSI 40 초반은 일반적으로 약한 매수세 유입의 구간이나, 추가 모멘텀 없이는 상승 지속이 어렵다.

MACD(12,26,9):
  MACD선 -12.784, Signal선 -14.105, Histogram +1.321이다.
  히스토그램이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MACD선이 시그널선을 상향 돌파하는 ‘골든 크로스’ 초입이다.
  이는 하락세 속에서의 기술적 다이버전스 신호로,
  저점 인식 및 단기 반등 타이밍이었음을 나타낸다.

→ 그러나 MACD 수치 자체가 여전히 음(-)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 추세 반전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으며, 일시적 반등에 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피보나치 되돌림 분석 (고점 595,609 / 저점 438,280 기준)
  - 38.2% 되돌림: 502,672원
  - 50.0% 되돌림: 516,945원
  - 61.8% 되돌림: 531,217원

→ 현재가는 38.2% 구간에 근접했으며, 해당 구간에서 수차례 저항을 받고 있다.
→ 이는 하락 추세 속 되돌림 반등이 마무리될 가능성 있는 가격대이다.

모멘텀·변동성 (ATR / Stochastic)
  - ATR(20): 약 13,000원으로, 최근 급락 이후 평균 수준의 변동성을 회복했다.
  - 스토캐스틱 %K: 38.18
변동성은 축소 중이며, 하락 급등 이후 재평형 구간으로 해석된다.
→ 스토캐스틱 역시 50선 아래에 머물며, 과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숨 고르기 상황이다.


4. 📐 볼린저 밴드

중심선(20일): 502,672원
상단선: 약 550,484원
하단선: 약 454,860원

현재가 위치: 중심선(20일선) 하단에 위치하며, 하단선에서 반등 이후 중심선 저항에 직면한 상태이다.
반등이 일시적인 가격 복원력에 의한 것이며, 추세 회복과는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밴드폭: 확산된 이후 서서히 수렴 중이나, 아직 방향성 명확하지 않음.
단기 변동성 완화, 방향성 모색 구간 진입으로 판단 가능.


5. ✅ 기술적 판단 (가중치 기반 확률 해석)

항목가중치판단 요약
이동평균선 25% 역배열 속 단기 반등, 중장기 하락 지속 중
RSI 10% 중립권, 추가 모멘텀 부재
MACD 15% 단기 상승 전환 신호, 다이버전스 형성
볼린저 밴드 15% 중심선 저항, 방향성 미확정
뉴스 및 이벤트 30% (뉴스 미반영, 추후 필요)
가격 액션(캔들/ATR) 5% 반등 후 정체, 상승 에너지 약화

종합 확률:
상승 가능성 43% / 하락 가능성 57%
→ 예: 단기 저점 형성 이후 기술적 반등 중이나, 추세 전환 신호는 부족하다.
→ 반등의 연속성보다는 하락 재개 가능성에 대비가 필요한 국면이다.


6. 📏 예상 가격 범위 및 달성 확률

예상 주가 범위: ₩465,000 ~ ₩510,000
범위 내 종가 도달 확률: 72%
1주 후 예상 종가 중앙값: ₩483,000
→ 최근 박스권 내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으며, 단기 목표치는 502,000원 수준이 한계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7. 💡 전략 제안

● 보유자라면

손절 기준: ₩465,000
  (최근 저점 반등 후 5일선 붕괴 및 하단 밴드 접근 시)
익절 기준:
  1차: ₩502,000 (20일선 및 피보나치 38.2%) → 확률 약 33%
  2차: ₩516,000 (50% 되돌림) → 확률 약 17%

운용 전략:
  · 20일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흐름이 발생할 경우, 절반 매도 후 눌림 확인 전략.
  · 중심선 저항이 유지될 경우, 현재가 대비 3~5% 상승 시 분할청산 권고.
  · MACD 수치가 양의 영역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반등 이상 해석은 지양.
  ·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으로 하여 수익 구간에서 방어적 접근 필요.


● 신규 매수자라면

진입 판단: 보류
매수 조건:
  ① RSI가 45 이상으로 상승 전환될 것
  ② MACD 히스토그램이 연속적으로 양의 값을 유지할 것
  ③ 20일선을 돌파한 이후 지지 테스트에서 성공할 것

→ 현재는 이 3가지 중 2가지 미충족 상태이므로,
  리스크 감안 시 진입은 시기상조이며, 하락 추세 속 저점 분할 접근도 제한적 추천.


● 종합 기술 판단

일주일 후 상승 확률 43%, 하락 확률 57%
→ 📌 손절가 465,000원 / 익절가 502,000원

→ 현재는 기술적 반등 후 피로 국면에 진입 중으로,
  보유자는 20일선 돌파 여부를 기준으로 방어 전략이 요구되며,
  신규 진입자는 확증 바닥 형성 신호가 명확해질 때까지 대기 전략이 유효하다.

관련글 더보기